반응형 자전거 2 파워 존/심박 존을 활용한 자전거 훈련 앞선 포스팅에서 FTP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 측정한 FTP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측정한 FTP를 기준으로 파워 존을 구분하고 파워 존에 따라 효과적인 훈련 스케줄을 짤 수 있다. 파워 존 & 심박 존 파워 존과 심박 존은 아래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값은 파워는 FTP, 심박은 자신의 최대 심박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intervals.icu 사이트에서 자신의 FTP, 최대 심박을 입력하면 존 별로 값을 계산해 준다. Z1 : Active Recovery 구간, 최대 2시간 훈련 - zone1에서 훈련하는 것은 피로 누적 없이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고강도 훈련 후 몸에 피로가 누적되어 있을 때 이 구간에서 훈련을 한다면, 신체를 활동 모드로 전환하면서도 피.. 2023. 1. 23. 라이딩 정보 활용 - intervals.icu 스마트 로라를 사용하다 보면 파워, 케이던스, 심박 등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해 본다. intervals.icu 스트라바와 연동해서 기록을 가져올 수 있어서 스마트 로라로 훈련을 하고 난 뒤 자동으로 기록이 연동된다. (스마트 로라 > Zwift > 스트라바 > interval.icu)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훈련을 계획한다면 더 빨리 성장할 수 있다. 2022. 11.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