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03


수족관 카페 방문 후기 - 아쿠아가든 카페 리빙파워센터 기흥점 어제 유튜브에서 본 수족관 카페에 다녀왔다. 아쿠아가든&카페라고 잠실, 기흥, 광교, 미사에 지점이 있는데 이번에는 기흥점에 갔다. 리빙파워센터? 건물 지하 1층에 있는데 가구를 파는 상가에 뜬금없이 수족관 카페가 있어서 신기했다. 음료나 베이커리 가격이 비싼 편인데, 아쿠아리움 이용료와 관리 및 유지 비용 금액이 포함되어 있다고 안내판이 있었다. 그리고 1인 1주문은 필수! (36개월 이상의 아이들도 포함) 그리고 주차는 무료이므로 따로 등록하지 않아도 된다. 카페에 들어가자마자 엄청난 규모의 어항들이 많이 있었다. 우선 키오스크로 주문을 하고 수초어항 앞에 자리를 잡았는데, 음료 2개만 시키려고 했지만 실수로 케이크가 하나 더 주문이 돼있었다.😅 배가 불러서 케이크는 못 먹고 포장해 갔다. 물고기 먹.. 2023. 1. 29.
곤지암 리조트 평일 라이딩 후기 오랜만에 연차를 쓰고 곤지암으로 평일 라이딩을 다녀왔다. 이번 시즌은 지난 몇 시즌이랑 비교해서 사람이 엄청 많아졌다.. 그래서 주말에 스키장 가는 것의 거의 포기상태 😭😭 아땡을 타고 싶었지만 역시나 늦잠으로 실패. 11시쯤 곤지암에 도착했는데 사람은 적당히 있었다. 아침을 제대로 먹지 않고 가서 금방 배가 고파졌다. 그래서 초급 2런 후 점심을 먹으러 갔다. 카페테리아에서 돼지고기 김치찌개와 수제 등심 돈가스를 먹었다. 돈가스 14,000원, 김치찌개 12,000원인데 돈가스는 양이나 맛이 별로였고 김치찌개는 쏘쏘 했다. 그런데 곤지암리조트 어플로 스마트 오더를 통해 주문하면 유플러스로 10% 할인을 받을 수 있었는데 주문을 하고 나서 알게 되었다.. 다음에 카페테리아에서 사 먹을 일이 있으면 스마트.. 2023. 1. 29.
파이썬 - 파일 읽기 쓰기 파이썬에서 파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파일 생성 파이썬 내장 함수인 open 함수를 사용해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f = open("test.txt", 'w') f.close() 파일 open 에는 아래의 모드가 있다. 파일 열기 모드 설명 r 파일을 읽기만 할 때 사용한다. w 파일에 내용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이미 존재하던 파일이 있으면 내용이 사라짐) a 파일의 마지막에 새로운 내용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 파일 쓰기 파일 열기 모드를 'w'로 하면 파일에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기존 파일이 있다면 내용이 모두 사라진다.) f = open("test.txt", 'w') data = "파일 내용 입력 테스트" f.write(data) f.close() 파일 열기 모드를 'a'로 하면 .. 2023. 1. 28.
보도 섀퍼의 이기는 습관 - 보도 섀퍼/박성원 이 책은 '위너'들이 가지고 있던 습관들에 대해 알려준다. '위너'란 자신의 내면에 귀 기울여 탁월한 성공과 지혜로운 삶은 얻은 사람들이다. 쉽게 말해 성공한 사람들의 습관에 대한 책이다. 30개의 습관에 대해 알려주는데, 모든 습관이 의미 있고 이해하기 쉽게 작성되어 있다. 마치 모든 자기 계발서를 정리해 놓은 책 같았다. 그리고 각 습관 별로 마지막에 실천 연습이라고 어떻게 실제로 습관을 실천해 볼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책 마지막 실천 연습 부분에도 나와있지만 이 책은 생각날 때마다 읽으면서 나의 습관을 점검해 봐야겠다. 그리고 30개의 습관 중 실천하고 있는 습관은 몇 개나 있는지 체크해 봐야겠다. 내용 정리 1. 결정을 내려라 변화가 있어야만 새로운 삶과.. 2023. 1. 28.
파워 존/심박 존을 활용한 자전거 훈련 앞선 포스팅에서 FTP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 측정한 FTP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측정한 FTP를 기준으로 파워 존을 구분하고 파워 존에 따라 효과적인 훈련 스케줄을 짤 수 있다. 파워 존 & 심박 존 파워 존과 심박 존은 아래의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값은 파워는 FTP, 심박은 자신의 최대 심박이다.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한 intervals.icu 사이트에서 자신의 FTP, 최대 심박을 입력하면 존 별로 값을 계산해 준다. Z1 : Active Recovery 구간, 최대 2시간 훈련 - zone1에서 훈련하는 것은 피로 누적 없이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고강도 훈련 후 몸에 피로가 누적되어 있을 때 이 구간에서 훈련을 한다면, 신체를 활동 모드로 전환하면서도 피.. 2023. 1. 23.
쿠버네티스 context - kubectl 로 멀티 클러스터 접근하기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면 다른 환경의 클러스에 접속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테스트, 개발, 운영 등으로 나뉜 환경이다. 하나의 리눅스/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여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방법 1. config 파일에 클러스터 context 정보 머지 kubectl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접속 시, .kube/config 파일에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접속을 한다. 하나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만 사용할 경우 config 파일에는 하나의 정보만 입력되어 있고 그 정보로 접속을 하면 되지만, 여러 개의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사용하려면 config 파일에 클러스터 context 정보를 입력해 줘야 한다. apiVersion: v1 clusters: - cluster: .. 2023. 1.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