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취미 36


해수어항 백탁 잡기 프로젝트 몇 개월 동안 방치했던 백탁을 잡기 위해 이런저런 시도를 해봤다. 1. 대량 환수 - 실패 해수염을 새로 구매하고 50% 환수를 했다. 환수를 하면서 여과재도 청소했다. 2. 활성탄 - 실패 백탁을 잡는데 활성탄을 넣으면 효과가 있다고 해서 넣어줬다. 3. 양말 필터 여과 스펀지 추가 - 실패 제거했던 양말 필터를 넣어줬고 추가로 여과 스펀지도 넣어줬다. 4. 여과재 교체 및 매일 10% 환수 - 성공 중? 기존 여과재를 너무 오래 사용해서 누렇게 변해 있었다. 그래서 새로운 여과재를 구매해서 교체해 줬다. 한 번에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우선 절반 교체 후 며칠 뒤 나머지 절반도 교체했다. 여과재를 교체하고 10일 정도 매일 10%씩 환수를 해줬더니 드디어 물이 맑아지기 시작했다. 원래 이랬던 물이 이렇.. 2023. 5. 8.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 히가시노게이고/양윤옥 나미야 잡화점을 기준으로 여러 인물들의 사연이 엮이면서 진행되는 소설이다. 나미야 잡화점에서는 사람들의 고민을 편지로 받고 상담을 해주는데, 상담받는 인물들의 사연이 연관된 게 많다. 책을 읽다 보니 어딘가 익숙한 느낌이 들었는데, 얼마 전에 읽은 불편한 편의점 소설과 유사했다. 이 책이 먼저 나왔으니 불편한 편의점이 이 책을 참고한 건가? 아무튼 편하기 읽기 좋은 소설이었다. 끝~ 2023. 4. 28.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 도서관 - 나종호 나종호라는 분이 유퀴즈에 나온 영상을 보고 책도 읽었다. 뉴욕에서 정신과 의사로 일하는 동안 다양한 사람들을 만났고, 그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책을 읽고 나서, 이런 사람들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정도의 책인 것 같다. 한 가지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공감에 대한 이야기이다. 나와 비슷한 배경이나 처지에 있는 사람을 공감하기는 쉽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사람을 공감하기는 어렵다. 나도 마찬가지이고 주변을 보더라도 다른 사람의 처지를 공감하고 이해하는 사람은 적은 것 같다. 어렵겠지만,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노력해 봐야겠다. 공감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 "모르지 않을까, 그게 어떤 기분인지" 2023. 4. 17.
인스타브레인 - 안데르스 한센/김아영 책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 스마트폰을 사용한 역사는 인류의 역사 중 매우 짧은 시간이고 우리 뇌는 아직 수렵 채집인에 적합한 뇌라서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몸에서 모르핀이 나와 중독되기 쉽고 다른 일에 집중을 하기도 어렵다고 한다. 특히 SNS를 많이 하는 사람들은 우울감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스마트폰은 적당히 사용하고 '스마트'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리고 운동하는 시간을 늘려서 몸을 좋은 방향으로 변화시켜야 한다. 대충 이런 내용인데, 정작 나는 이 책을 스마트폰으로 봤다; SNS를 거의 하지 않는 편이지만 다른 사람들이 그렇듯 나도 스마트폰을 들고 사는 편이다. 스마트폰과 컴퓨터를 많이 하다 보니 몸이 많이 굽은 .. 2023. 4. 9.
비밀 - 히가시노게이고/양윤옥 두 모녀가 버스를 타고 가다가 사고를 당했다. 사고로 인해 엄마(나오코)는 죽게 되고 딸(모나미)만 살아남는다. 그런데 딸의 몸에 엄마의 영혼? 이 들어갔다. 그래서 몸은 딸인데 정신은 엄마인 상태가 된다. 이런 상황에서 아빠이자 남편인 헤이스케와 딸이자 아내인 나오코/모나미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뭐 이런저런 상황들을 겪으면서 헤이스케는 아내의 정신을 가지고 있는 모나미를 진정한 딸로 대하기로 결심한다. 그 결심이 있은 뒤 갑자기 모나미의 정신이 돌아오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몇 분, 몇 시간 돌아오다가 며칠 동안 모나미의 정신상태로 살아가는 경우도 있다. 나오코는 점점 자신이 없어져야 할 때가 다가온다는 것을 예감하고 마지막으로 남편과 처음 데이트한 곳을 찾아가고 그곳에서 남편과 마지막을.. 2023. 4. 1.
팩트풀니스 - 한스 로슬링, 올라 로슬링, 안나 로슬링 뢴룬드/이창신 이 책은 세계에 관한 13가지 질문으로 시작한다. 여러분도 풀어 보시길 1. 오늘날 세계 모든 저소득 국가에서 초등학교를 나온 여성은 얼마나 될까? A: 20% B: 40% C: 60% 2. 세계 인구의 다수는 어디에 살까? A: 저소득 국가 B: 중간 소득 국가 C: 고소득 국가 3. 지난 20년간 세계 인구에서 극빈층 비율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A: 거의 2배로 늘었다 B: 거의 같다 C: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4. 오늘날 세계 기대 수명은 몇 세일까? A: 50세 B: 60세 C: 70세 5. 오늘날 세계 인구 중 0~15세 아동은 20억이다. 유엔이 예상하는 2100년의 이 수치는 몇일까? A: 40억 B: 30억 C: 20억 6. 유엔은 2100년까지 세계 인구가 40억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2023. 4. 1.
반응형